본문 바로가기

기아5

렉서스, 터보 엔진 단 신형 LS 세단 공개 렉서스가 2017 북미오토쇼에 새로운 기함 LS를 공개했다. 1989년 1월 같은 무대에 선 초대 LS가 고급스러움과 차분함으로 어필했다면 신형 LS는 다이내믹한 스포츠 세단의 실루엣을 자랑한다.글로벌 무대에선 5세대 일본에서만 보면 2세대에 해당하는 모델로 4세다가 2006년 데뷔했으니 거의 10년 만에 나온 풀 체인지 모델이다.신형 LS는 토요타가 새로 개발한 GA-L 플랫폼으로 개발되었다. 전통적인 세단에 쿠페 스타일을 가미해 낮고 넓은 분위기다. 프런트에서 리어까지 날카로운 선과 면이 주류를 이룬다. 실내는 수평 기조의 계기판과 도어 트림을 자연스럽게 연결한 형태로 안정감을 추구했다. 쿠페스타일로 지붕을 낮추긴 했지만 패키징을 최적화해 뒷좌석도 현행보다 넉넉하게 뽑아냈다. 파워트레인에서 눈에 띄는.. 2017. 1. 18.
마침내 공개된 기아 K8(스팅어 GT) 기아자동차의 야심작인 K8(수출명 스팅어 GT)의 완전한 모습이 공개되었다. 정식 데뷔 8시간 정도로 앞둔 상태에서 인터넷이 등장한 사진들은 파격, 그 자체다. 컨셉트카의 이미지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 선과 면이 살아있다. 호랑이 코 그릴을 비롯해 LED 헤드램프, 범퍼의 커다린 공기흡입구 등 이전 컨셉트카의 모습 대부분을 그대로 살렸다. 쿠페와 세단의 섞은 듯한 옆모습은 K8 디자인의 백미. B필러부터 살찍 내려오는 루프가 매끈하게 트렁크 리드를 타고 흘러 스포티한 분위기를 이끈다. 엔진은 그동안 알려진 것처럼 V6 3.3리터 직분사 터보로 최고출력 370마력에 이를 전망이다. 여기에 8단 자동변속기, LSD를 조합해 5.1초에 0-100km/h를 주파하고 최고속은 244km/h까지 낼 수 있는 것으로.. 2017. 1. 18.
카이엔 터보 S보다 빠른 알페로메오 스텔비오 알파로메오가 첫 번째 SUV 스텔비오(Stelvio)를 2016 LA오토쇼에 출품했다. 스텔비오는 이태리의 유명한 와인딩에서 가져온 말이다. 그 말처럼 SUV지만 다이내믹한 달리기 솜씨를 뽐낸다. 스포츠카 4C와 스포츠 세단 줄리아에 이어 등장한 신세대 알파로메오의 3번째 모델이다. 헤드램프와 프런트 그릴을 비롯한 앞모습은 줄리아의 판박이. 옆과 뒤는 해치백과 SUV의 중간 형태다. 파워트레인 역시 줄리아와 비슷한데 최상급의 경우 페라리가 튜닝한 V6 2.9L 직분사 트윈 터보 505마력 엔진을 얹어 폭발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알파로메오측은 독일 뉘르부르크링 랩타임에서 포르쉐 카이엔 터보 S를 앞섰다고 주장한다. 정지에서 3.9초면 시속 97km에 도달하고 최고속은 284km/h에 달한다. 내년 중반부터.. 2017. 1. 18.
재규어 전기 SUV, I-페이스 컨셉트 데뷔 F-페이스로 SUV 시장에 뛰어든 영국의 고급차 메이커 재규어가 11월 14일 열린 2016 LA 전야제를 통해 차세대 전기 SUV의 예고편인 I-페이스 컨셉(I-PACE)을 공개했다. 해치백과 SUV를 교집한 듯 날렵한 모습은 크로스오버의 전형을 보여준다. 헤드램프과 그릴로 재규어 패밀리임을 강조했고 옆구리에선 쿠페의 다이내믹한 선도 보인다.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뒷모습. 날카롭게 자른 선들이 공기역학적인 특성을 극대화한 모습이고 테일램프는 F-페이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 I-페이스의 파워트레인은 모터와 리튬이온 배터리의 결합이다. 앞뒤축에 각각 모터를 달아 4바퀴를 굴리는 타입이며 시스템 출력은 400마력, 최대토크는 F-타입 SVR과 비슷한 71.4kgm에 달한다. 강력한 모터로 4초면 시속 97k.. 2017. 1. 18.
혼다 5세대 CR-V 발표 혼다자동차가 지난 13일 미국에서 신형 CR-V를 발표했다. 5세대 모델로 4세대의 디자인 틀을 유지하면서도 세련미를 가미해 상품성을 높였다.신형 시빅의 플랫폼으로 개발되었으며 4세대보다 약간 큰 반면 몸무게는 더 줄었다. 혼다 아이덴티티를 살린 그릴과 헤드램프 디자인이 돋보이며 사이드 라인은 전통을 따르되 최신 감각을 더했다. 뒷모습은 앞과 마찬가지로 LED를 써 새롭다.엔진은 기존 2.4리터 i-VTEC 직분사 가솔린 엔진에 1.5L 직분사 터보를 추가했다. 시빅에도 얹은 것으로 고효율을 자랑해 앞으로 메인 유닛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미국에서의 정식 판매는 올 하반기에 이뤄질 전망이다. 국내 출시는 내년 상반기가 유력. - NO.1 자동차 커뮤니티 오토스파이넷( www.autospy.net ) - 2017. 1. 18.